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우아한테크
- dbms
- DoitSQL
- 자바 예외
- Doit입문SQL
- 예제
- 크롤링 오류
- 함수
- 배열 3요소
- 크롤링
- 웹브라우저 수용도
- 웹 브라우저 전쟁
- 생성자
- DoIt
- 페이지분석
- 키-값 데이터베이스
- 자바 오류
- html
- 예외
- 함수 선언
- DoitSQL입문
- R1C3
- 숫자 형식
- 데이터베이스
- SQL입문
- 배열 예제
- SQL
- HTML역사
- 숫자형식오류
- 자바
-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우아한테크
- dbms
- DoitSQL
- 자바 예외
- Doit입문SQL
- 예제
- 크롤링 오류
- 함수
- 배열 3요소
- 크롤링
- 웹브라우저 수용도
- 웹 브라우저 전쟁
- 생성자
- DoIt
- 페이지분석
- 키-값 데이터베이스
- 자바 오류
- html
- 예외
- 함수 선언
- DoitSQL입문
- R1C3
- 숫자 형식
- 데이터베이스
- SQL입문
- 배열 예제
- SQL
- HTML역사
- 숫자형식오류
- 자바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29)
프로그래밍
2023.08.07.월 테스트계정 / 검색 예제 현재까지 학습한 내용인 Spring MVC 방식으로 테스트계정과 검색 예제를 구현해보자 [@ModelAttribute("이름")] VIEW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세팅하려는 목적으로 활용하는 @(어노테이션) @Controller 파트에서 해당 @을 사용하면 @RequestMapping보다 먼저 수행된다 ※ 가장 먼저 실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해당 방식을 사용할시 무슨 검색이 되어야하는지 VIEW가 몰라도 괜찮아진다 DB 구조를 모르더라도 VIEW 구현이 가능해진다 request라는 NOT POJO인 무거운 객체를 쓰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단, VO에 tmp 멤버변수를 생성하는것이 보편적인 방식이다 @Controller public class Main..
2023.08.03.목 커맨드 객체 @ 1. @Repository M, DAO 2. @Service C, Service 3. @Controller C, implement Controller를 대신함 현재 @Controller를 사용하기 때문에 메서드 강제성이 없다 즉, 메서드 시그니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 요청에 대해 Controller 객체를 찾아가는 mapping과 리턴타입(OUTPUT) 등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으며 메서드명과 인자(INPUT)값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우린 이를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고 @RequestMapping과 메서드명의 변화로 인해 하나의 클래스 파일에 여러개의 메서드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 응집도 상승 Command 객체 컨테이너는 객체를 생성..
2023.08.03.목 Spring MVC로 변경하기 지금까지 작성한 코드를 Spring MVC 방식으로 변경해보도록 하자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특성인 IoC를 이용하여 우리가 직접 클래스를 만드는 것이 아닌 Spring에서 제공하는 클래스를 활용할 것이다 현재 가장 무거운 객체는 dispatcher이다 상대적으로 무거운 파일인 dispatcher의 코드가 변경되지 않으면 재컴파일 할 일 없어지며 기능 추가시 컨트롤러만 구현해서 넣으면 되므로 유지보수에 유리해진다 web.xml 기존에는 우리가 만든 'dispatcher'를 넣었지만 우리는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dispatcher를 넣을것이다 ※ 스프링 프레임워크 활용 Resolver : 특정 역할을 자동으로 처리 : 반드시 id를 명시해줘야 함 ViewRe..
2023.08.02.수 Service와 ServiceImplement @Repository @Repository는 @Component를 상속받는다 다만 Model 파트에서 사용하기에 관점분리에 유리하며 메모리 관리에 유리하며 속도가 향상된다 "DAO"라고 이름이 붙지 않을 수도 있는데 해당 어노테이션으로 구분 또한 가능하다 즉, 가독성이 향상된다 DAO는 자주 바뀌지 않기 때문에 어노테이션을 활용할 것이다 Service Service 레이어는 관념적으로 존재한다 이렇게 관념적으로 존재하는 Service 레이어를 구현한 클래스는 DAO를 직접 사용하게 된다 ServiceImple == Service 레이어를 구현한 클래스 == DAO를 직접 사용하는 주체 package com.spring.biz.board..
2023.08.01.화 new 객체화 프로그램의 수행 순서를 제어하거나, 문장들의 수행 횟수를 조정하는 문장 new 한다는 것은 객체화 한다는 것이고 우리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IoC(제어의 역행)이 되었기 때문에 직접 new 하지 않고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객체화할 것이다 new 하는 법 2가지 1) .xml xml의 단점 객체를 생성하는 양에 비해 코드량이 지나치게 많아짐 : 설정 과다 : 가독성이 떨어짐 : 구조 파악(JAVA)이 어려움(자바 구조 예상하기 어려움) 2) @ "설정을 .java에 할 수는 없을까?" 라는 의문과 함께 생긴 방식이다 자바 파일에 설정을 할 수 있다 .xml(설정)이 줄어들어 가독성이 향상된다 JAVA의 구조파악에 도움이 되지만 코드 변경시 재컴파일을 해야한다는..
2023.08.01.화 의존 관계 어떤 메서드를 수행하는 주체가 되면 의존관계가 발생한다 예를들면 main Action을 하는 진짜 주체는 BoardDAO이다 selectAll / selectOne과 같은 메서드를 실행하는 주체는 BoardDAO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TV를 켜는 주체는 리모콘인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의존 관계가 발생한다면 의존 주입을 해야한다 의존 주입(DI) : Dependency Injection 의존 주입은 곧 멤버변수 초기화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의존 주입에는 2가지 방식이 있다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해당 객체의 멤버변수를 초기화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슷하다 설정(.xml) 우리는 POJO인 객체 의존 주입을 할 것이므로 스프링 컨테이너 설정파일인 applicationCo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