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it입문SQL
- SQL
- 키-값 데이터베이스
- DoitSQL입문
- 배열 3요소
- 숫자형식오류
- DoIt
- 크롤링
- 자바
- 예제
- 자바 예외
- 숫자 형식
- R1C3
- 함수
- 자바 오류
- 배열 예제
- 크롤링 오류
- SQL입문
- 생성자
- DoitSQL
- 페이지분석
- 예외
- HTML역사
- 웹브라우저 수용도
- dbms
- html
- 함수 선언
- 우아한테크
- 데이터베이스
- 웹 브라우저 전쟁
Archives
- Today
- Total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it입문SQL
- SQL
- 키-값 데이터베이스
- DoitSQL입문
- 배열 3요소
- 숫자형식오류
- DoIt
- 크롤링
- 자바
- 예제
- 자바 예외
- 숫자 형식
- R1C3
- 함수
- 자바 오류
- 배열 예제
- 크롤링 오류
- SQL입문
- 생성자
- DoitSQL
- 페이지분석
- 예외
- HTML역사
- 웹브라우저 수용도
- dbms
- html
- 함수 선언
- 우아한테크
- 데이터베이스
- 웹 브라우저 전쟁
Archives
- Today
- Total
프로그래밍
[SQL 입문] 데이터베이스 종류 본문
728x90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종류
교재: Do it! SQL 입문
18p ~ 27p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가 부모와 자식 관계를 이루는 트리 구조이다.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기 쉬우며, 데이터는 상하 종속 관계로 이루어지므로 초기에 이 방식을 채택하면 이후 프로세스 변경이 어려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노드로 표현한 모델이다. 노드는 네트워크상에 있으며 서로 대등한 관계이다.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는 계층형 데이터베이스의 단점인 데이터 중복문제, 상하 종속 관계를 해결했다.
레코드간의 관계를 일대다 또는 다대다로 표현할 수 있지만, 종속성 문제가 생기기 쉬워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변경하기 어렵다.
키-값 데이터베이스
NOSQL의 한 종류로 키-값을 일대일 대응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며 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유리하다.
*비정형 데이터란( Unstructured Data) 란
쉽게 말해 형식이 없는 데이터다. 흔히 텍스트, 음성, 영상과 같은 데이터가 비정형 데이터 범위에 속한다.
관계형 데이터와 함께 많이 사용한다. 특징은 스키마 없이 작동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를 미리 정의할 필요가 없으며 시간이 지나더라도 언제든지 바꿀수 있으므로 비정형 데이터를 쉽게 저장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이다.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한다.
용어
|
설명
|
|
열
|
각 열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며 자신만의 타입을 가진다. 열은 필드(field) 또는 애트리뷰트(attribute)라고 한다.
|
|
행
|
관계된 데이터의 묶음을 의미하며 한 테이블의 모든 행은 같은 수의 열을 가진다. 행은 튜플(tuple)또는 레코드(record)라고 한다.
|
|
테이블
|
행과 열 값들의 모음을 나타내며, 도메인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그룹화해 놓은 것이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분리하고 각 테이블 목적에 맞는 데이터만 저장한 후, 테이블을 참조 관계로 연결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조금 어렵게 말하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중복과 관리 효율성을 추구한다.
ERD
테이블간의 관계를 표현한 그림을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라고 한다.
ERD 예시
728x90
반응형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입문] WHERE 문으로 조건에 맞는 데이터 검색하기 (0) | 2023.06.13 |
---|---|
[SQL 입문] SELECT 문으로 데이터 검색하기 (0) | 2023.06.13 |
[SQL 입문] SQL을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3.06.13 |
[SQL 입문] SQL이란 무엇인가? (2) | 2023.06.09 |
[SQL 입문]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0) | 2023.06.07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