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It
- HTML역사
- 웹브라우저 수용도
- 숫자 형식
- DoitSQL
- 크롤링 오류
- 숫자형식오류
- 배열 예제
- 예제
- 함수 선언
- 예외
- 자바 오류
- 키-값 데이터베이스
- 함수
- 페이지분석
- 우아한테크
- dbms
- DoitSQL입문
- 웹 브라우저 전쟁
- Doit입문SQL
- 데이터베이스
- 생성자
- html
- 배열 3요소
- 자바
- R1C3
- SQL
- 자바 예외
- SQL입문
- 크롤링
Archives
- Today
- Total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It
- HTML역사
- 웹브라우저 수용도
- 숫자 형식
- DoitSQL
- 크롤링 오류
- 숫자형식오류
- 배열 예제
- 예제
- 함수 선언
- 예외
- 자바 오류
- 키-값 데이터베이스
- 함수
- 페이지분석
- 우아한테크
- dbms
- DoitSQL입문
- 웹 브라우저 전쟁
- Doit입문SQL
- 데이터베이스
- 생성자
- html
- 배열 3요소
- 자바
- R1C3
- SQL
- 자바 예외
- SQL입문
- 크롤링
Archives
- Today
- Total
프로그래밍
[Python] 파이썬의 연산자 본문
728x90
반응형
파이썬의 연산자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가 있으며
산술, 대입, 관계, 논리 연사자로 구분할 수 있다
연산자
종류 | 연산자 | 의미 |
산술 | +, -, *, **, /, //, % | 숫자 연산 |
대입 | +=, - = , *= , **= , /= , //= , %= | 대입 및 복합 대입 |
관계 | >, >=, <, <=, ==, != | 크기 비교 |
논리 | and, or, not | 하나 이상의 논리적 처리 |
비트 | &, |, ^, ~, <<, >> | 이진 연산 |
기타 | 참 if 거짓 else 거짓 | 조건 연산 |
in, +, * | 시퀀스 연산 |
연산자 우선순위
우선순위 | 연산자 | 의미 |
1 | [값...], (값... ), {값... }, {키:값... } | 리스트, 튜플, 집합, 딕셔너리 |
2 | a[0], a[0:3], a.name | 인덱싱, 슬라이싱, 객체 프로피터 |
3 | ** | 거듭제곱 |
4 | +a, -a | 양의 부호, 음의 부호 |
5 | *, /, //, % | 곱셈, 나눗셈, 몫, 나머지 |
6 | +, - | 덧셈, 뺄셈 |
7 | >, >=, <, <=, ==, != | 관계 연산자 |
8 | not | 논리 NOT |
9 | and | 논리 AND |
10 | or | 논리 OR |
11 | 참 if 거짓 else 거짓 | 조건 연산자 |
시퀀스 연산자
순서가 있는 데이터 구조인 시퀀스(리스트, 튜플, range, 문자열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
연산자 | 의미 | 사용방법 | 결과 |
+ | 연결하기 | [1, 3, 5] + [2, 4, 6] | [1, 3, 5, 2, 4, 6] |
'hello'+''+'python' | 'hello python' | ||
* | 반복하기 | [1, 3, 5] * 2 | [1, 3, 5, 1, 3, 5] |
'★' * 5 | '★★★★★' |
멤버쉽 연산자
어떠한 값이 지정된 컬렉션(리스트, 문자열, 딕셔너리 등)에 속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
속해 있을시 True, 아닐시 False
연산자 | 의미 | 사용 방법 | 결과 |
in | 포함되어 있으면 True | 5 in {1, 2, 3, 4, 5} | True |
'h' in 'apple' | False | ||
'a' in {'a', 'apple', 'b', 'banana'} | True | ||
not in |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True | 5 not in {1, 2, 3, 4, 5} | False |
'h' in 'apple' | True | ||
'a' in {'a', 'apple', 'b', 'banana'} | False |
조건 연산자(삼항 연산자)
어떠 조건식의 결과가 참(True)인 경우와 거짓(False)인 경우에 사용할 결과를 모두 한 번에 작성할 수 있는 연산자
'조건식', '참인 경우 결과', '거짓인 경우 결과'를 모두 한 번에 작성하려면
항이 3개가 필요하므로 삼항연산자라고도 부른다
연산자 | 의미 |
참 if 거짓 else 거짓 | 조건식의 결과가 참(True)인 경우와 거짓(False)인 경우를 동시에 처리 |
728x90
반응형
'Python > 파이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내장함수 (0) | 2023.11.06 |
---|---|
[Python] 파이썬의 제어문 (0) | 2023.11.05 |
[Python] 기본 입출력 (0) | 2023.11.05 |
[Python] 변수와 자료형 (0) | 2023.11.05 |
[Python] 파이썬이란? (0) | 2023.11.05 |
Comments